부동산 시장, 1·3 부동산 종합대책 시행 후 낙폭 축소
정부는 2023년 새해 시작과 동시에 '1·3 부동산 종합대책'을 시행했다.
2022년 말 수도권 아파트의 주간 가격 하락폭이 1%에 육박하는 등 부동산 시장이 경착륙 우려가 커지자 정부는 서둘러 부동산 안정화 대책을 냈다.
'잠실 둔촌주공 일병구하기'라는 거센 비판이 일었지만 분양 관련 규제 대폭 완화, 규제지역 해제(서울 강남 3구와 용산구를 제외)등 정부는 꽤 강력한 부동산 시장 안정책을 내놓았다. 이후 실제 부동산 시장은 어느 정도 안정세로 접어드는 모습을 보이며 5주 연속 낙폭을 줄였다.
2023년 2월 첫주 전국 아파트 가격 하락폭 다시 확대
안정세를 찾는가 했던 전국 아파트 값이 이번 주 들어 일제히 낙폭이 확대됐다.
2월 1주차 지역별 아파트 가격 동향
- 서울·경기·인천 및 수도권 : 전주 -0.44% → 이번 주 -0.58%로 낙폭 확대. 주간 단위로 0.5%를 넘는 하락세 기록.
- 5대 광역시 및 8개도 : 하락폭 확대
- 세종, 전국 최대 하락 : 전주 -1.00% → 이번주 -1.15% 기록. 전국 최대 하락폭 기록
● 주간 단위 1% 하락 추세가 1년이면 50% 하락. -0.5%일때 1년에 약 30% 가까이 하락을 의미 함
(주간 변동률에 52를 곱하면 연간 변동률 근사치)
부동산원, 급매 위주 거래가 하락세 원인으로 분석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조사를 시행하고 있는 부동산원은 이번 부동산 시장에 대해 ▷관망세 ▷급매위주 거래 를 하락 원인으로 분석했다.
최근 들어 나타나고 있는 시중 금리 안정세로 인해 서울 지역의 매수문의와 거래량이 조금 증가하는 모습이 나타나지만 여전히 매도자와 매수자 사이의 호가 격차는 좁혀지지 않고 있다며 현재는 여전히 관망세가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매수자들이 아파트 매물을 살펴보고는 있지만 매수로 이어지는 경우가 적어 거래활동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런 가운데 가격을 크게 낮춘 급매만 거래되다 보니 지표의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매매가 하락보다 심각한 전세가격 하락세
매매가격보다 전세가격 하락세는 더욱 심상치 않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76%로 전주보다도 낙폭이 더 확대됐다.
서울 전세값, -0.95% 기록
서울의 전셋값은 이번 주 -0.95%를 기록했다. 지난주 -0.96%에 비교해 거의 변화가 없이 약 1% 하락세를 유지했다.
특히 신규 아파트 입주를 앞둔 지역이 하락세를 이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흑석뉴타운 신규 입주 물량이 나오고 있는 동작구 전셋값이 -1.69% 하락했다. 역시 개포자이프레지던스 등 대단지 아파트 입주를 앞둔 강남구는 -1.39%를 기록했다.
경기 지역 전세값, -1.16%로 전주대비 하락폭 확대
경기 지역 전셋값은 -1.06%에서 이번 주 -1.16%로 하락세가 커졌다.
성남 분당이 -2.41% 안산 단원구가 -1.98%, 하남과 화성시가 -1.88% 등 2% 안팎의 심각한 하락세를 보였다. 이대로 전셋값 하락세가 지속된다면 올해 중 역전세난이 더욱 심해져 보증금을 둘러싼 집주인과 세입자간의 다툼이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역전세난이 심해지면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서울 아파트 -22% 하락… 역대 최대 하락 (0) | 2023.02.17 |
---|---|
‘유재석 가짜 이사설’…대치동 집값 띄우기 작전인가? (0) | 2023.02.11 |
연 4%대 특례보금자리론… 대출받아서올해 진짜 집 살까? (0) | 2023.01.10 |
2022 전국 아파트값 3% 떨어져… 세종 11.9% `하락률 1위'.2023년 부동산 시장 전망은?? (0) | 2023.01.09 |
특례보금자리론 1년간 한시 운영] 연4%금리 예상…9억이하 주택에 5억까지 대출 (0) | 2023.01.0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