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트럼프, 중국 제품 2000억 달러 관세 부과 발표.

Money(경제와 투자)

by 쾌걸남아 2018. 9. 18. 13:16

본문

반응형

[깊어지는 미중 무역 전쟁]


트럼프 대통령,

중국에 2차 관세 부과 발표.

총 2000억달러 상당

10% 부과 후 25%로 상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결국 중국산 수입품 중 2천억 달러(약 224조원)어치 제품에 대한 10% 관세부과를 발표했습니다.


미국은 앞서 500억 달럭 규모의 중국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이후 중국과 무역 협상을 진행했지만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자 중국에 대한 압박 카드를 다시금 꺼내 들었습니다. 


중국과 무역 전쟁을 선포한 이후 3차 관세 공격인데요, 관세율은 애초 알려진 25%보다는 낮은 10%로 적용했습니다.


관세율이 처음 알려졌던 25%에 비해 낮아진 것은 미국 기업들의 부담을 반영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기업들의 요구를 반영해서 당초 7월초에 발표한 약 6000여개 관세대상품목에서 애플 스마트워치를 비롯해 자전거 헬멧, 카시트 등 300여개 소비자제품들을 제외했습니다. 


당장 25%의 관세가 부과되면 중국으로부터 제품을 수입하는 미국 기업들이 경영에 많은 압박을 받을 수 있어 중국업체을 대신한 대체 공급망을 확보할 수 있는 시간을 주기 위해 관세율도 일단 10%를 적용하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합니다.


다만 10% 관세는 한시적으로 적용되면 올해말부터 25%로 상향된다고 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율은 내년 1월 1일부터 25%로 올라갈 것"이라며 "추가적으로 만일 중국이 우리의 농부들 또는 다른 산업들에 보복조치를 취할 경우 우리는 즉시 약 2670억 달러의 중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3단계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하며 추가적인 관세 부과를 예고했습니다. 





[미중 무역 갈등 수혜주가 있을까??]


미중 무역 갈등이 지속될 수록 반사이익을 받는 업종이 생길 것은 자명합니다.

특히, 중국에서 많은 중간재를 수입하는 미국 입장에서 고율의 관세를 물면서까지 중국 제품을 쓰거나 중국 업체와 거래를 하기보다는 대체할 업체를 찾을 것이 뻔합니다.


다만, 이번 무역 갈등에 따른 수혜가 바로 실적에 반영되지는 않기 때문에 수혜주를 찾더라도 투자에는 신중해야 하는 것은 분명합니다.


개인적으로 반도체, IT관련 기업에 대한 투자에 관심이 많기 때문에 그 관련주를 찾아봤습니다. 



- 반도체 관련주 -


바른전자


종합 반도체 전문업체로서 반도체 후공정 제조 전문인 

SIP(반도체센서/메모리카드 등) 및 IOT(사물인터넷) 와이파이/블루투스 사업과

스마트카드에 적용되는 IC(집적회로)칩 제조 기술을 보유한 업체

미국/중국의 무역전쟁에서 마이크론 대체 메모리 판매 기대감과

중국에서 판매금지된 마이크론 경쟁 제품을 생산/판매을 한다는점이 부각

최대주주는 바른테크놀로지로서 3D전문업체



피델릭스


모바일폰의 버퍼 메모리로 사용되는 제품에 대한 설계 및 판매를 

주사업으로 영위하고있는 팰리스 반도체 업체로서 이외에도 모바일D램

초고속메모리/플래쉬 메머리/MCP 사업을 영위하고있으며

과거 수출중소기업인상을 수상한 이력을 보유한 업체

중국이 미국 반도체 대기업인 마이크론의 중국내 판매를 금지 했다는 

소식에서 반사이익을 볼수있다는 기대감에 급등하며 관련주로 편입



멜파스


센서 전문업체로서 지문인식/터치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중대형 사이즈용 터치반도체 등을 취급하는 반도체 팹리스 업체

주요 거래처로 삼성전자/LG전자 등이 있으며 

터치디스플레이 IC 및 터치스크린 모듈 관련 기술특허 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180여개 보유하고있는업체

미국/중국의 무역전쟁으로 인해 멜파스의 중국합작법인인

" 셀파스 " 도 수혜를 입을것이란 기대감에 급등 관련주로 부각



- 통신 관련주 -



대한광통신


통신사업부문/전력사업부문을 영위하고있으며

주력으로 광섬유/광케이블 제품을 생산/납품 하고있음

국내 거래처로서 이동통신사 3사 SKT/KT/LGU+ 등을 파트너로 두고있으며

광통신산업의 핵심 제품인 광섬유를 코어 모재 단계로부터 

자체 생산 할수있는 국내 유일한 업체

비분산형 단일모듈 광섬유에 적용하던 반덤핑 관세를 대폭 인상 해

중국에 광섬유를 수출하는 미국업체들이 타격을 받는다는 전망으로

수혜를 입을것이란 기대감에 주가를 보여준업체



코위버


유선광전송장비 등의 제조/판매를 주사업으로 영위하고있으며

국내 이동통신3사 SK브로드밴드/KT/LG유플러스 등 

국내 주요 통신 사업자에게 광전송장비를 공급하고있는업체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이 12조달러 규모의 

5G 기술 주도권 경쟁일수 있다는 분석에 강세 주가를 보여준업체

코위버는 테라급패킷광전송망장치(POTN) 및 ROADM 장비 등

뛰어난 성능이 장비를 보유하고있는것으로 알려져있음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