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우버택시?? 택시앱 시장 경쟁, 알리바바와 텐센트 택시앱 합병, 구글, 다음 카카오택시 사업화 준비

IT is IT

by 쾌걸남아 2015. 2. 15. 23:55

본문

반응형

['우버택시', 새로운 혁신의 물결]


우버택시는 2010년 6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첫 선을 보인 후 만 4년만에 세계 37개국 140여 개 도시로 진출하며 엄청난 성장세를 보이있습니다. '공유경제'와 '신기술'의 융합의 폭발력을 보여주는 적절한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 트래비스 칼라닉 우버 창업자. /트래비스 칼라닉 트위터 제공.


지난해 12월 우버의 기업가치는 414억달러, 우리돈 약 45조원으로 평가됐습니다.

2009년 3월 회사를 설립한지 불과 6년만에 이룬 엄청난 성과입니다.


우버택시의 시작은 생활 속에서 경험할 수 있는 불편함입니다. 우버택시의 창업자는 30분 넘게 택시를 기다리다가 '버튼하나로 택시를 부를수 없을까'라는 생각을 했고 이 아이디어를 발판으로 우버를 세상에 내놓았다고 합니다.


이후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폭발적인 호응으로 급성장을 이어온 우버는 2013년 11월 한달간 본사가 있는 샌프란시스코에서만 1800만달러를 벌어들였다고 합니다. 이를 년간으로 환산하면 2억 1600만달러에 이릅니다. 우버가 2014년 샌프란시스코에서 벌어들인 년간 매출은 5억달러가 넘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같은 우버의 성장세를 목격한 기업들이 앞다투어 우버의 비즈니스 모델을 흉내내어 수익 창출의 기회로 삼으면서 세계 곳곳에서 우버 택시앱과 유사한 서비스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세계 곳곳으로 퍼지는 우버의 영향력과 수익모델]


중국은 이미 우버택시의 서비스모델을 따라 사업을 하고 있는 곳으로 대표적인 회사는 알리바바와 텐센트입니다. 중국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거대 IT기업인 양사는 우버택시의 모델을 따라 이미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알리바바와 텐센트의 택시앱 합병 기사가 떴습니다. 중국 스마트폰 택시 앱 점유율 1위의 콰이디다처와 2위인 디디다처가 14일 합병을 선언했다는 기사였습니다.

두 회사가 합병하면서 중국 택시앱 시장 점유율 99.8%를 차지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양사의 합병 이유로는 합병 전 양사의 지나친 경쟁으로 인한 수익율 악화는 물론이고 바이두의 투자를 받아 중국 시장에 진출을 준비 중인 우버택시에 대한 견제의 의미도 있다고 합니다.


알리바바 - 텐센트 ‘적과의 동침’…택시앱 합병



중국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IT기업인 구글도 이 우버의 비즈니스 모델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구글은 사내 벤처 투자사인 구글 벤처스를 통해 2009년 8월에 2억 5800만 달러를 우버에 투자했습니다. 그 후 채 1년이 지나기전에 추가로 투자를 했을 뿐만 아니라 구글 자체 무인 자동차를 개발하면서 우버와 비슷한 차량 공유앱도 개발 중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다음카카오와 SK플래닛이 택시앱 출시 예정입니다. 다른 나라와의 차이점은 국내에서 불거진 우버택시 불법 영업 논란으로 기존 택시 사업자와 협력하여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우버택시 대해부]⑩ 구글·다음카카오도 택시사업 나선 이유는



[우버 모델이 인기를 끄는 이유는??]


우버 택시앱은 스마트폰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가 가능한 공유경제 모델에서 신기술이 접목되면서 사용의 편리함을 갖추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특히 최근 각광 받고 있는 '핀테크'의 등장으로 인해 택시 요금을 계산할 때 현금을 주고받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어 더욱 손쉽게 이용 가능한 장점이 크게 부각된 것으로 보입니다.


콜택시 앱을 준비 중인 IT 업체들의 입장에서는 생활필수품이 된 스마트폰을 일상생활에 가장 효율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분야가 택시이기 때문입니다. 스마트폰 안에 들어 있는 위치확인 기능과 사람들의 이동 수요가 맞닿는 부분이 택시 서비스입니다. 


다음카카오 관계자는 “온라인 기술이 오프라인으로 확장하는 O2O(online to offline) 분야의 대표적인 서비스가 택시”라고 말하며 택시앱 진출의 의미를 설명했습니다.


현재 다양한 형태의 '공유경제' 아이디어가 신기술과 접목되어 여러가지 형태로 시험적인 서비스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더더욱 많은 분야에서 우버 모델이 활용된 수입의 기회가 열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