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루프페이 업체 인수로 모바일 결제 서비스 시장 진출]
삼성전자가 미국 매사추세츠에 위치한 모바일 결제 솔루션 업체 루프페이(LoopPay)를 인수했습니다. 삼성전자의 이번 인수로 삼성전자의 모바일 결제 시장 진출이 가시화 된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전자의 루프페인 인수
삼성전자가 인수한 루프페이는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관련 특허 기술을 보유한 업체로 삼성전자는 이번 인수 이전부터 꾸준한 관심을 두고 있던 업체입니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이노베이션 센터를 통해 이전부터 루프페이의 가능성에 주목해 왔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실제 삼성전자의 이같은 관심은 지난 2014년 8월에 신용카드 업체 비자, 싱크로니 등 3사 공동으로 루프페이에 투자를 했습니다.
루프페이가 보유한 MST 기술은 신용카드 정보를 담은 기기를 마그네틱 방식의 결제 단말기에 가까이 대면 결제할 수 있게 하는 방식입니다. 이 기술의 장점은 기존의 결제 단말기를 교체할 필요 없이 미국 매장 대부분에서 편리하게 모바일 결제를 이용할 수 있어 활용 범위가 넓고 적용이 손쉽게 이뤄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번 인수로 삼성전자는 조만간 미국 모바일 결제 시장에 참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전자가 루프페이의 기술을 통해 미국 모바일 결제 시장에 참여하게 되면 지난해 애플페이를 출시 미국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애플과 구글 월렛 서비스를 통해 시장에 진출을 꽤하고 있는 구글과 시장 점유율 경쟁을 하게 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사실입니다.
[애플페이, 미국 모바일 결제 시장 주도]
애플페이
지난해 모바일 결제 시장에 론칭 된 애플페이는 현재 미국내 모바일 결제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연방조달청(GSA)은 공식 스마트페이로 애플페이를 채택, 올 9월부터 연방정부 카드를 애플페이에 등록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미국 연방조달청에서 애플페이를 정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된다면 기초생활보호자와 재향군인은 연금계좌의 직불 카드를 애플페이에 등록해 사용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국립공원 입장료 등 연방정부가 관할하는 서비스의 이용료와 수수료도 애플페이로 낼 수 있게 됩니다.
미국 연방조달청의 규모를 고려해 본다면 애플페이의 규모가 급속히 커질 것은 자명한 사실입니다.
[구글 월렛, 뒤쳐지고 있지만 역전 가능성 높아]
구글 월렛
애플페이가 미국내 모바일 결제 시장을 선도 하고 있는 사이 구글의 구글 월렛 서비스는 주춤한 상태입니다. 구글 월렛 서비는 현재 통신사들이 막고 있어 서비스 경쟁에서 뒤쳐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구글은 소프트카드를 인수할 방안을 고려중이라고 합니다.
만일 구글이 소프트카드를 인수하면, 안드로이드폰 사용자들은 구글 월렛을 AT&T, 버라이즌, T-Mobile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구글 월렛 서비스가 시장에 빠르게 확산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구글은 통신사에 수수료 일부를 지불하는 것 뿐 아니라 광고 매출을 공유하는 것까지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구글 월렛의 공세가 거셀 것으로 예상됩니다.
[삼성전자의 모바일 결제 시장 진출, 기존 업체들과 치열한 경쟁 예상]
삼성전자의 모바일 결제 서비스의 성패를 예상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이미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애플페이 뿐만 아니라 구글 월렛의 거센 공세를 동시에 막아내며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것은 쉽지 않은 도전입니다.
게다가 안드로이드 OS 기반의 스마트폰에서 구글 월렛과 삼성 결제 서비스가 동시에 탑재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된다면 소비자들의 혼란은 물론이고 두 회사의 갈등으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점유율까지도 잃게되는 악순환의 고리에 빠지게 될 수도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야말로 최악의 경우죠.
다만 루프페이의 마그네틱 기술이 기존의 신용카드 결제 장치를 교체할 필요없이 즉시 도입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잘 활용한다면 빠른 시장 점유율의 확대가 가능할 것입니다.
결제 서비스를 사용해야 하는 상점에서 장비 교체 비용과 번거로움이 없다는 점에서 저항감 없이 시장에 정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기존의 하드웨어 산업의 강점을 이용해 서서히 플랫폼 기업으로 변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그동안의 성과는 만족스럽지 못했지만 현재의 행보라면 조만간 성공하는 분야가 나올 듯 합니다.
'IT is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의 '폴라' 출시. '인스타그램'을 따라잡을까?? (0) | 2015.03.25 |
---|---|
갤럭시S6 실물 사진 공개, 이번에는 진짜냐?? (0) | 2015.03.02 |
[IT] 애플, 아이폰 다음으로 애플워치, 4월 출시 예정으로 1Q에만 600만대 공급예정 (0) | 2015.02.18 |
우버택시?? 택시앱 시장 경쟁, 알리바바와 텐센트 택시앱 합병, 구글, 다음 카카오택시 사업화 준비 (0) | 2015.02.15 |
초소형 드론, 그리고 드론 관련주 (0) | 2015.02.09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