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월 중국 정부 규제로 대폭락한 중국 교육주
최근 중국 주식 시장 살아나며 상승 중
교육 규제 해제 언제될지 알 수 없어...고점 대비 여전히 -90% 수준.
중국 교육주에 투자해야할까?
중국 정부는 2021년 7월경 중국 사교육 업체에 대한 제재를 가했다. 당시 무섭게 폭등하던 부동산 가격에 더해 자녀들의 높은 사교육 비용에 더한 불만이 터져나오며 민심이 흐트려지며 정부에 대한 불만이 높아지자, 중국 정부는 국민들의 생활 안정을 꾀한다는 이유를 들어 사교육 업체에 대한 대대적인 규제를 실시했다.
2021년 7월,
중국 정부의 강력한 사교육 규제 시행
직격탄 맞은 중국 사교육 업체들 주가 폭락 사태
EDU, TAL, GOTU 등 -99% 기록
중국 정부의 사교육 규제 시행
중국 정부의 대대적인 사교육 규제의 충격파는 상상 이상으로 컸다.
규제 이전 승승장구하던 중국 사교육 업체들의 주가는 규제가 시행된 직후 연일 폭락세를 기록했다.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대표적인 중국 교육주인 EDU와 TAL의 주가는 규제 한달여만에 손실률이 무려 -99%를 기록했다. 이들뿐 아니라 대부분의 중국 교육주들 역시 폭락세를 피하지 못하고 100분의 1토막 혹은 그 이상 폭락하면서 휴지조각으로 변해 버렸다. .
규제 속 생존을 위해 변화에 나선 중국 사교육 업체들
그러나 중국 사교육 업체들은 이런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살 길을 찾아 나서기 시작했다.
중국 사교육 업체들은 규제 속에서도 살아남기 위해 대대적인 변화를 추진했다. 우선, 회사에서 고용중이던 교사들 대부분을 해고하며 몸집을 줄여나갔다.
그리고 새로운 사업 아이템을 찾아서 활로를 찾기 시작했는데, 그 중 하나가 E커머스 시장에 진출 한 것이다.
중국 최대의 사교육 업체인 EDU(신동방 교육 그룹)은 E커머스 시장에 진출해 큰 화제를 모았다.
이 업체는 자사의 이른바 '스타강사'들을 홈쇼핑 호스트로 만들었다. 영어를 가르치던 강사는 각종 주방 용품을 영어로 소개하고 사용하는 방법도 영어로 친절하게 알려주면서 주방 용품을 판매했다.
그밖에도 왕새우며 각종 농산물을 홈쇼핑에서 소개하며 판매와 강의를 접목시키는 방법으로 매출액을 조금씩 회복시켜 나갔다.
다른 업체들도 사교육에서 벗어나 유학 중계나 유학 관련 업무 대행 사업을 확장시키며 활로를 찾는데 성공했다.
중국 사교육 업체 주가 바닥 벗어나
이같은 노력의 결과 중국 사교육 업체들의 매출은 미미하지만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했고 이같은 변화를 알아챈 투자자들은 조금씩 이들 회사에 대한 투자를 늘리기 시작하면서 주가가 바닥을 벗어나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New oriental education(EDU), TAL education(TAL), Gaotu techedu(GOTU) 등 중국 대표 사교육 업체들의 주가는 바닥 대비 300~400%가까이 급등한 상태이다.
중국 경제 회복 기조 강화 속 사교육 규제 해제도 기대...그러나 여전히 미래는 불투명
중국 정부는 지난해 말부터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각종 규제를 풀면서 경기 부양에 나서고 있다. 강하게 억눌렀던 부동산 규제도 완화로 돌아섰으며 알리바바, 텐센트 등 빅테크 업체에 대한 규제도 서서히 풀어주고 있다.
이러한 중국 정부의 규제 완화 정책은 중국 사교육 업체에게 내려졌던 강력한 규제책들을 해제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을 만들어 냈다. 마침 다양한 사업 모델로 변화한 중국 사교육 업체들의 매출도 회복세를 보였다.
매출 회복세에 더해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가 합쳐져 중국 사교육 업체들의 주가는 바닥 대비 300~400%씩 상승한 상태다.
그러나 현재 상황에서 중국 교육주에 대한 투자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
https://bankrupt.tistory.com/509
바닥 벗어나고 있는 중국 교육주. 더 상승할 것인가?? (feat EDU, TAL )
중 정부 규제로 무너졌던 중국 교유주. 최근 급등 신동방교육(EDU) - 온라인 라이브 농산품 판매로 주가 급등 ◆ 위기의 중국 교육기업, 온라인 판매로 위기 돌파 2021년 중국 정부는 민생 안정책
bankrupt.tistory.com
사교육 규제는 '언젠가'는 풀리겠지만 그게 언제가 될지는 섣불리 예단할 수 없다. 당초 규제 이유가 민심을 달래기 위해서인데 현재 경기가 나쁜 중국 경제를 고려하면 높은 비용을 지불해야하는 사교육 규제의 해제는 당장 선택할 수 있는 정책은 아니다. 우선은 경제 지표들이 좋아지고 취업 시장이 어느정도 살아난 이후에나 사교육 규제가 풀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규제 속에서도 매출을 회복하고 있는 업체들을 선별적으로 투자하는 것은 고려해 볼만하다.
E커머스에서 활로를 찾은 신동방교육 그룹의 경우 작년부터 서서히 매출과 이익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안심하긴 이르지만 회사가 없어질 수 있는 위기에서 벗어나는 모습은 보이고 있다.
현재 상태로 간다면 회사가 망해서 없어지지는 않을 듯하다. 이대로 매출이 회복하고 여기에 규제가 완화되는 호재까지 더해지면 그 다음은 과거 고점을 향해 무섭게 치솟을 것으로 기대할 수도 있어 보인다.
물론, 규제가 완화될 때까지 위아래로 흔들리는 주가의 폭이 얼마가 될지는 알 수 없는 일이지만 말이다.
망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 규제가 언젠가 풀릴 것이란 확신, 그때까지 버틸 수 있는 인내와 끈기가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 도전해 볼 수 있는 주식이라는 판단이 든다.
참고로 글을 쓰는 본인은 살짝 발담그고 있다. 현재 수익률은 30% 기록중...
'Money(경제와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주식 시장, 10년 증시 수익률 주요국 중 꼴찌...미국 12.6%로 1위 '서학개미'가 답 (1) | 2023.02.20 |
---|---|
전기, 가스 요금 폭탄. 정부 지원 늘려... 정부 난방비 지원금 신청·확인 - '보조금24'에서 한번에 해결 (2) | 2023.02.05 |
넷플릭스, '계정 공유' 금지 정책 한국에서도 적용 예정..."한 집 거주자만 허용"....언제 시행하나? (0) | 2023.02.02 |
또 12% 폭락하며 108달러 기록한 테슬라 …"수요 부진 심각, 추가하락" vs "전기차 성장성 충분, 매수 기회" (0) | 2023.01.04 |
2023년 삼성이 새해 첫 투자한 곳은 '로봇' …반도체, 이차전지에 이어 로봇 산업이 새로운 먹거리가 될까?? feat 레인보우로보틱스 (0) | 2023.01.0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