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2 하반기 집값 전망 - 부동산 전문가들의 예상은??

부동산

by 쾌걸남아 2022. 6. 28. 00:00

본문

반응형

 

 


전문가 20명의 2022 하반기 부동산 시장 전망



최근들어 앞으로 부동산 상승, 하락에 대한 전망이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급격한 물가 상승, 그에따른 금리 인상 등 거시 경제 환경의 변화가 주택 시장을 흔들고 있는 모습이다. 부동산 투자에 관심있는 분들은 물론이고 내집 마련이나 나처럼 하반기 이사를 계획하고 있는 실수요자들 모두 판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점이다. .

마침 부동산 전문가 20명에게 2022하반기 부동산 시장에 대한 전망을 묻고 분석한 기사가 있어 공유 차원에서 정리해 글을 쓴다.

부동산 전문가 20명 대상 ‘2022년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 설문조사 결과도 상승, 하락이 팽팽하다.

2022년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에서 전문가 20명은 상승 5명, 하락 5명, 보합 10명으로 의견이 나뉘고 있다. 

일단 서울과 재건축은 상승, 경기, 인천은 전체적으로 완만한 하락을 보일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했다. 
하락을 예상한 의견에 대한 이유는 장기간에 걸친 집값 급등 피로감과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인한 매수 심리 감소를 꼽았습니다.

 


■“서울은 강보합…경기는 하향 안정, 인천은 위험”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
- 대출이 꽉 막힌 15억원 이상 고가주택은 금리 인상 무관.
   강남 재건축 아파트 등 고가주택은 공급 부족 여파로 상승
   그러나 10억원 안팎 중가 주택은 금리 영향 있을 것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
- 서울은 대기수요가 많다. 원자재값 상승 영향 등 신규 공급 난항으로 집값 하락 어렵다.

김제경 투미부동산컨설팅 소장
-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 강화되며 서울 상승,
   경기·인천은 호재 유무에 지역별 차별화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
- 인천은 지난해 집값 급등함. 당분간 공급량 많아 하향 조정 가능성 큼.
   대구, 세종에 이어 인천, 대전은 보수적인 접근해야 한다.

실제 인천은 지난해 입주물량이 1만9000가구였는데 올해는 두 배인 3만7000가구, 내년에는 4만2000가구로 늘어나면서 공급 과잉 우려가 있음.

 



■ "공급 부족” 상승 vs “금리인상 부담감” 하락.

상승론의 근거

1. 좋지 못한 수급 여건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 :
4만9525가구(2020년) - 3만2689가구(2021년) - 2만1417가구(2022년)- 2만3975가구(2023년) 으로 4년간 2만 가구 감소함

두성규 전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서울은 주택 공급 자체가 부족,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대외 여건도 나쁘다.
  입주물량 감소도 문제

고준석 제이에듀투자자문 대표
- 상반기 일부 지역에서 1~2건씩 급매물이 거래됐지만 시세로 보기 어렵다.
   서울은 대규모 신규 공급이 막혀 있어 가격 하락 예상 어렵다.
    상반기처럼 강남·서초 중심으로 신고가가 나오며 상승할 것

2. 다주택자 매물 감소
    - 과세기준일지나 집을 서둘러 처분할 이유 없음

우병탁 세무사
- 6월 1일로 과세 기준일 지남. 양도소득세 중과 한시적 유예는 내년 5월9일까지.
  다주택자들은 하반기 시장을 관망할 가능성 높음. 급매물 나오기 힘들듯.

.

 

 



하락론의 근거

금리 인상, 주택구입부담지수, 전세가율 등 지표가 임계점 도달. 수급 요인 영향이 제한적 듯

한문도 연세대 금융부동산학과 교수
- 주택시장 각종 지표가 집값 상승 한계치 이미 도달

이현철 아파트사이클연구소장
- 미분양 증가 추세. 하반기 지방 중심으로 미분양 증가 가능성 높음
   서울 미분양 물량도 4월 360가구로 한 달 새 2배쯤 증가

전망이 맞고 틀리고는 시간이 지나야 알 수 있는 것이며, 때론 시차를 두고 전망이 맞는 경우도 있어 섣부른 판단을 내리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중요한 것은 상승, 하락을 맞춘다기 보다 그 속의 논리를 공부하면서 부동산 시장의 흐름을 읽을 수 있는 눈을 가져야 한다는 점이다.

나같은 타고난 부동산 멍청이는 솔직히 아무리 공부해도 부동산 투자가 막막하고 어렵지만 그래도 포기할 수 없는것은 그나마 살고 있는 집 한채라도 제대로 구할 수 있는 안목이라도 갖추려고 하는 발버둥이다.




https://realty.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6/22/2022062200531.html




 

"하반기 집값 정말 폭락하나요?" 전문가 20명에 물었다

최근 물가 급등과 잇따른 금리 인상 등으로 주택 시장이 안갯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땅집고는 전문가 20명 대상으로 하반기 시장 전망에 대해 긴..

realty.chosun.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