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거주 은퇴자 - 60,70대 가계 수입 이중 추락 경험]
2012년 통계청 가계 동향 조사의 결과를 분석한 미래에셋 은퇴리포트 6호가 발표되었습니다.
은퇴리포트 6호에 따르면 현재 도시거주 은퇴자 가구는 60대 전후와 70대 전후, 2번에 걸쳐 가계수입이 이중으로 추락을 경험한다고 합니다.
평균 수명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노후의 수입 감소가 일어난다는 소식은 그다지 달갑지가 않네요.
미래에셋 은퇴리포트에 따르면 60대 가구의 평균 가계수입(282만원)은 50대 가구(441만원)에 비해 36%, 70대 이상 가구의 수입(154만원)은 60대에 비해 4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간 정도 가계수입을 가진 가구는 감소폭이 더욱 가파르게 축소돼 50대 가구 384만원 → 60대 215만원 → 70대 95만원으로 각각 44%, 56% 의 큰 하락폭의 수입 감소가 일어난다고 합니다.
나이가 들어 넉넉하진 않더라도 부족하지 않게 살아가야 하는데 수입이 감소하면 자녀들에게도 경제적으로 상당히
부담을 주게되어 여간 신경쓰이는 소식이 아니네요.
[수입 감소의 원인은 '일자리']
수입 감소의 원인은 결국 '일자리'와 관련이 있네요.
은퇴리포트를 발간한 미래에셋 은퇴연구소에는 60대 이후의 ′일자리의 질′과 ′일자리 유무′가 가계수입 이중추락의 원인이라고 밝혔습니다.
우선 가계수입 이중추락은 일자리의 질(質)이 영향을 미친다는 설명입니다.
60대 가구주의 취업률은 63%에 불과하다고 하네요. 50대에는 89%에 이르던 취업률이 큰 폭으로 줄었는데 차이만큼의 60대들이 취업을 하지 못해 수입이 없거나 대폭 감소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나마 취업을 하고 있는 분들도 고용 형태가 임시직 ‧ 일용직 등 상당수가 임시직으로 취업되고 있는 실정이라네요.
그나마도 70대를 넘어선 취업률은 29%로 떨어지고 그중 절반(15%)이 임시·일용직이기 때문에 가계수입의 2차 추락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또한 일자리의 유무(有無)는 은퇴자 양극화를 심화시킨다고 합니다. 은퇴자 가구의 소득계층이 낮아질수록 가구주의 취업률이 하락하고 임시·일용직의 비중마저 감소해서 전체적으로 수입이 큰폭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가계수입이 일자리에 좌우되는 이유는 연금과 보유자산을 활용해 충분한 수입을 확보하지 못한 것도 원인이라고 합니다.
[연금 및 보유자산을 활용해 노후 수입을 미리 준비해야]
노후에 수입이 감소하게 되면 그만큼 자식 세대에게 경제적으로 의존을 하게 되어 자신의 가정 뿐 아니라 자녀들의 가정에게도 상당한 부담을 주게 됩니다.
최근에 부모 부양에 대한 부담때문에 생긴 갈등에 대한 이야기나 기사가 많이 늘어난 것도 그만큼의 이유가 있었네요.
60대, 70대 분들의 은퇴 이후 소득 감소로 인한 고통을 줄이기 위한 여러 대안들이 나오고는 있지만 아직은 정작이 제대로 된 사업이 몇가지 없네요..
국가에서도 이런 문제를 인식하고 많은 복지 사업을 실행하고 있다고 하니 그나마 다행입니다.
그렇지만, 개인들도 경제 활동을 항창하는 20~50대에 미리 개인 연금, 보유 자산을 활용한 은퇴 후 수입 등 다양한
은퇴 자금 대책을 생각하고 준비해야 하겠습니다.
은퇴 후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서 다시한번 자신들의 은퇴 자금이 제대로 준비되고 있는지 살펴보면 좋겠네요.
[연금 보험 상담]
'IT is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슈] 사물인터넷 관련주 - 코콤 등 관련주 정리. (0) | 2015.01.17 |
---|---|
[이슈] 사물인터넷. 다시 찾아오는 기회일까?? (0) | 2015.01.16 |
[IT] 비트코인 열풍, 이대로 끝날까?? 러시아도 규제나서. (0) | 2014.02.11 |
[노후대비] 노후자금 마련 수단으로 유용한 주택 연금. (0) | 2013.10.15 |
[금융상식] 예금자 보호 제도, 알고 계신가요?? (0) | 2013.10.09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