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바닥 벗어나고 있는 중국 교육주. 더 상승할 것인가?? (feat EDU, TAL )

Money(경제와 투자)

by 쾌걸남아 2022. 6. 21. 22:24

본문

반응형

중 정부 규제로 무너졌던 중국 교유주. 최근 급등

신동방교육(EDU) - 온라인 라이브 농산품 판매로 주가 급등

 

◆ 위기의 중국 교육기업, 온라인 판매로 위기 돌파 

 

2021년 중국 정부는 민생 안정책 일환으로 입시 사교육을 전면 금지하는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이 정책으로 중국 교육 업체들이 직격탄을 맞으면서 교육 업체 10곳 중 8곳이 잇따라 폐업했습니다. 교육업체들의 주가도 99%이상 하락하며 그야말로 초토화 되었습니다. 

 

-99% 이상 폭락한 중국 교육 주식. (EDU, TAL)

 


폭락후 좀처럼 움직이지 않던 중국 교육주들의 주가가 최근들어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 사교육 업체가 기존 교육 비지니즈에 더해 인터넷 라이브 쇼핑으로 농산물 판매하는 새로운 사업에 나섰는데요,  소위 '대박'을 쳤습니다. 

중국의 한 인터넷 쇼핑 방송에서 물건을 파는데 독특한 판매 방식이 눈길을 사로잡습니다. 

 

물건에 대한 설명을 하는데 중국어와 함께 영어로 설명합니다. 
갑자기 영어 받아쓰기를 시키기도 합니다. 

중국 사교육업체 신동방이 만든 인터넷 쇼핑몰로 쇼핑 호스트들은 한때 수십만명의 수강생들을 거느렸던 이른바 '1타 영어 강사'들입니다. 

중국 최대 사교육업체인 신동방은 중국 당국의 사교육금지 정책에 지난해 하반기에만 1조원의 적자를 기록하고 직원도 6만명이나 해고하는 등 위기에 처했습니다.  결국 신동방은 새로운 사업으로 위기 돌파에 나섰습니다. 강의실을 스튜디오로 바꾸고, 중국판 틱톡인 더우인에서 인터넷 쇼핑 채널열고 온라인 쇼핑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SNS로 소문이 나면서 1백만명을 돌파했던 팔로워수가 일주일 만에 1천2백만명을 넘기는 등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신동방의 홍콩 상장사 신동방온라인 주가는 6월 10일 4.47 홍콩달러에서 4거래일만인 6월 16일 28.6 홍콩달러로 상승폭이 무려 5.4배를 기록했습니다.


미국 증시에서는 하오라이 등 신동방과 같은 중국 인터넷 교육 관련 종목 주가도 함께 호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 단기 내 폭등 '주의보', 신사업 성장성 검증돼야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20621000835.

◆ 단기 내 폭등 '주의', 신사업 성장성 검증이 우선.  

교육업체들이 생존을 위한 돌파구를 찾긴 했지만 이것이 기업의 장기적인 수익처가 될 수 있을지는 아직 더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특히 최근 대형 자금이 대거 이탈하며 신동방의 주가가 큰 폭의 조정을 받으면서 교육 업체에 대한 불안한 전망을 반영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실제로 홍콩 증시 상장된 신동팡자이셴 주가는 20일에는 32% 가량 급락했습니다. 그간 바닥권에 갇혀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버티기' 상태에 있던 대형 기관이 최근 주가 상승을 탈출 기회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설명입니다. 

중국 금융 정보 플랫폼 윈드(Wind)에 따르면 지난 15일과 16일 이틀간 모간스탠리는 각각 3531만 4500주, 3668만 8900주의 신둥팡자이셴 주식을 처분했습니다. 각각 5억 8500HKD(약 822억7000만 원), 10억 4900만 HKD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모간스탠리는 그간 신둥팡자이셴의 '열성 투자자'였습니다. 지난해 말부터 올해 5월까지 낙폭이 70% 이상 벌어질 때도 7400만 주 가량의 주식 보유량을 유지해 왔습니다 .

 

 

 



뿐만 아니라 제2대 주주였던 텐센트 역시 대규모 매도로 보유지분을 축소했습니다. 텐센트홀딩스는 15일과 16일 이틀에 걸쳐 총 7460만 9300주를 매도하면서 7억 2000만 HKD를 현금화 했습니다.  이번 주식 매도로 신둥팡자이셴에 대한 텐센트 지분율은 1.58%로 축소됐으며 텐센트는 제3대 주주가 됐습니다.

중신(中信)증권은 중신증권은 "공급망 관리 능력에 있어서 더욱 많은 경험이 필요하고 검증을 받아야 한다"며 ▲라이브 커머스 및 교육 업계에 대한 정책 변화 ▲라이브커머스 업무량 감소 혹은 비용 상승 ▲메인 진행자 유실에 따른 방문자 수 감소 ▲제품 품질 문제로 인한 신뢰도 추락 등을 주요 위험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자오상(招商)증권도 16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신둥팡자이셴 평가 등급을 '중립'으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16일 거래 한때 주가가 32HKD를 돌파하자 실제 수익 능력 대비 주가가 너무 고평가 돼 있다고 평가하며 "대중적 이미지와 농산품 중심의 판매 전략이 신둥팡의 강점이긴 하지만 단기적 실적 호조가 장기적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고 경고했습니다 .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